디지털 표준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SDTV)은 아날로그 TV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표준으로, 디지털 TV 방송, 게임 콘솔, DVD 플레이어 등에서 사용된다. SDTV는 유령 현상과 노이즈를 제거하지만, 신호 간섭 시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DVB, ATSC, ISDB 등의 표준을 지원하며, 576i와 480i 방식이 있다. SDTV는 4:3 또는 16:9 화면비를 가지며, 픽셀 종횡비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 일본, 미국 등 지역별로 SDTV의 정의와 분류에 차이가 있으며, 텔레비전 방송 외에도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SC - ATSC 3.0
ATSC 3.0은 고효율 물리 계층, OFDM 변조, LDPC FEC 코드를 사용하는 차세대 방송 기술 표준으로, 다양한 비디오 형식을 지원하고 암호화, 디지털 워터마킹, 긴급 재난 경보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 ATSC - Rec. 709
Rec. 709는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정의한 HDTV 표준으로, 1920x1080 해상도, 다양한 프레임 속도 및 주사 방식, RGB 색상 모델, 디지털 표현 방식 등을 규정하여 전 세계 시장을 위한 단일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 광대역 - FTTX
FTTx는 광섬유를 활용한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방식으로, 광섬유 연결 위치에 따라 FTTH, FTTB, FTTC, FTTN 등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구축 비용과 제공 대역폭에 차이가 있고, VDSL, PON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미래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지속적인 발전과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 광대역 - ISDB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다양한 매체를 지원하며 모바일 수신에 강점을 가진 1세그먼트 부분 수신 서비스와 고화질 방송을 위한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 방송공학 - FM 방송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음질이 좋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기술이다. - 방송공학 - 건조
건조는 물질 속 수분을 증발시켜 고체나 반고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으로, 식품 보존, 화학 실험, 산업 공정, 방송 공학, 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DNA 손상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의 저항성을 진화시키기도 한다.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 |
---|
2. 역사 및 특징
SDTV는 아날로그 TV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표준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디지털 TV 방송 및 게임 콘솔, DVD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가정용 기기에 사용된다.[5][3]
디지털 SDTV 방송은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고스트 현상이나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러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으면 오류 정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미지 멈춤, 블록 현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 SDTV 방송을 지원하는 표준에는 DVB, ATSC, ISDB가 있다.[6] ATSC와 ISDB는 원래 HDTV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멀티플렉싱을 통해 여러 SD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을 제공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SDTV 신호 방식은 크게 576i와 480i 두 가지로 나뉜다. 576i는 유럽에서 개발된 PAL 및 SECAM 시스템에서 유래되었으며, 480i는 미국 NTSC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4][5] 여기서 'i'는 인터레이스 (비월 주사) 방식을 의미하며, 숫자는 수직 해상도의 라인 수를 나타낸다. SDTV 재생률은 25, 29.97 및 30 프레임이다.
북미에서는 디지털 SDTV가 NTSC 신호와 동일한 4:3 전체 화면 화면비로 방송되며, 와이드스크린 콘텐츠는 종종 센터 컷된다.[6] PAL 또는 SECAM 색상 시스템을 사용했던 다른 지역에서는 디지털 표준 화질 텔레비전이 일반적으로 16:9 화면비로 표시되며, 지역에 따라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후반 사이에 전환이 이루어졌다.
명칭 | 최대 화소수(가로×세로) | 화면비(가로:세로) |
---|---|---|
480i | 720×480 | 16:9/4:3 |
480p | 720×480 | 16:9/4:3 |
576i | 720×576 | 16:9/4:3 |
576p | 720×576 | 16:9/4:3 |
2. 1. 픽셀 종횡비
SDTV는 4:3 또는 16:9 화면비를 가지며, 픽셀 종횡비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MPTE 259M-C 표준에 따라 SDTV 방송 이미지는 이미지의 480 NTSC (또는 576 PAL) 라인마다 720 픽셀 너비로 스케일링된다.픽셀 종횡비는 가시적인 이미지(4:3 또는 16:9)가 디지털 프레임의 중앙 704 수평 픽셀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720픽셀과 704픽셀 해상도에서 동일하다. 720 수평 픽셀(수평 블랭킹 포함)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라인의 경우, 중앙 704 픽셀만 실제 4:3 또는 16:9 이미지를 포함하며, 양쪽에 있는 8픽셀 너비의 스트라이프는 공칭 아날로그 블랭킹 또는 수평 블랭킹이라고 하며 이미지를 표시할 때 버려야 한다.
방송 와이드스크린의 화면비는 일반적으로 16:9이며 (애너모픽의 경우 픽셀 종횡비는 40:33), 기존 또는 레터박스 방송의 화면비는 4:3이며 (픽셀 종횡비는 10:11)이다.
비디오 형식 | 화면 종횡비(DAR) | 해상도 | 픽셀 종횡비(PAR) | 수평 스케일링 후 |
---|---|---|---|---|
480i | 4:3 | (수평 블랭킹 잘림) | 10:11 | |
(전체 프레임) | ||||
480i | 16:9 | (수평 블랭킹 잘림) | 40:33 | |
(전체 프레임) | ||||
576i | 4:3 | (수평 블랭킹 잘림) | 12:11 | |
(전체 프레임) | ||||
576i | 16:9 | (수평 블랭킹 잘림) | 16:11 | |
(전체 프레임) |
각 국가는 서로 다른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 방식을 사용한다.
3. 지역별 표준
고선명 텔레비전 방송의 수직 해상도는 인터레이스에서 1125본[7], 순차 주사로 750본[8] 이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미만은 표준 텔레비전 방송에 해당한다.
480i, 480p, 576i, 576p 등의 해상도가 SDTV에 해당한다.
총무성령에 의한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고정 수신용 표준 텔레비전 방송 영상은 다음과 같다.
유효 주사선 | 화소수 (가로×세로) | 가로세로비 (가로:세로) | 필드 | 프레임 |
---|---|---|---|---|
483 | 720×480 | 16:9/4:3 | 60 | - |
483 | 720×480 | 16:9 | - | 60 |
전자 정보 기술 산업 협회(JEITA)에서는 풀 스펙 디지털 튜너를 탑재한 텔레비전 수신기는 수직 유효 해상도가 650본 이상이면 하이비전 수신기로 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하이비전과의 경계는 650본이 된다.[10]
- '''미국'''
미국의 표준화 단체인 전미가전협회(CEA)는 480p/576p를 SDTV에 포함하지 않고 EDTV(Enhanced-Definition Television)로 분류한다. 따라서 ATSC 표준에서는 SDTV - EDTV - HDTV 순서로 분류된다. 이는 일본의 분류와 다르다.
해상도 | 화면비율(가로:세로) | 명칭 |
---|---|---|
480i/576i | 16:9/4:3 | SDTV |
480p/576p | 16:9/4:3 | EDTV |
720p/1080i | 16:9 | HDTV |
3. 1. 한국
고선명 텔레비전 방송의 수직 해상도는 인터레이스에서 1125본[7], 순차 주사로 750본[8] 이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미만은 표준 텔레비전 방송에 해당한다. 총무성령에 의한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고정 수신용 표준 텔레비전 방송 영상은 다음과 같다.유효 주사선 | 화소수 (가로×세로) | 가로세로비 (가로:세로) | 필드 | 프레임 |
---|---|---|---|---|
483 | 720×480 | 16:9/4:3 | 60 | - |
483 | 720×480 | 16:9 | - | 60 |
전자 정보 기술 산업 협회(JEITA)에서는 풀 스펙 디지털 튜너를 탑재한 텔레비전 수신기는 수직 유효 해상도가 650본 이상이면 하이비전 수신기로 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하이비전과의 경계는 650본이 된다.[10]
3. 2. 일본
일본에서는 표준 텔레비전 방송이 고선명 텔레비전 방송(HDTV)의 수직 해상도(인터레이스 1125본[7], 순차 주사 750본[8] 이상) 미만에 해당한다. 480i, 480p, 576i, 576p 등의 해상도가 SDTV에 해당한다.총무성령에 의한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고정 수신용 표준 텔레비전 방송에 해당하는 영상은 다음과 같다.
유효 주사선 | 화소수 (가로×세로) | 가로세로비 (가로:세로) | 필드 | 프레임 |
---|---|---|---|---|
483 | 720×480 | 16:9/4:3 | 60 | - |
483 | 720×480 | 16:9 | - | 60 |
3. 3. 미국
미국의 표준화 단체인 전미가전협회(CEA)는 480p/576p를 SDTV에 포함하지 않고 EDTV(Enhanced-Definition Television)로 분류한다. 따라서 ATSC 표준에서는 SDTV - EDTV - HDTV 순서로 분류된다. 이는 일본의 분류와 다르다.해상도 | 화면비율(가로:세로) | 명칭 |
---|---|---|
480i/576i | 16:9/4:3 | SDTV |
480p/576p | 16:9/4:3 | EDTV |
720p/1080i | 16:9 | HDTV |
4. SDTV의 활용
SDTV는 텔레비전 방송뿐만 아니라 게임 콘솔, DVD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가정용 기기에서도 사용된다.[5][3]
SMPTE 259M 규격의 시리얼 컴포넌트 디지털 전송은 D1-VTR 등의 컴포넌트 디지털 VTR에서 사용된다. D-2 VTR에서는 콤포지트 디지털 전송 방식이 사용된다.
스카이파! 프리미엄 서비스의 "표준 화질 채널"은 MPEG-2 압축을 사용한다. H.264로 압축된 480i 방송은 "표준 화질 채널"이 아니다.[11]
참조
[1]
웹사이트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SDTV)
https://www.atsc.org[...]
2023-06-18
[2]
웹사이트
HDTV
http://www.siliconim[...]
2023-06-18
[3]
웹사이트
BT.601: Studio encoding parameters of digital television for standard 4:3 and wide screen 16:9 aspect ratios
https://www.itu.int/[...]
ITU
[4]
웹사이트
What means 576i?
http://www.afterdawn[...]
[5]
웹사이트
What means 480i?
https://www.afterdaw[...]
[6]
웹사이트
All-Digital Television Is Coming (And Sooner Than You Think!)
https://web.archive.[...]
[7]
문서
有効走査線1035または1080
[8]
문서
有効走査線は720
[9]
웹사이트
米CEAがDTVの定義を拡張,EDTVを追加
http://techon.nikkei[...]
2000-09-01
[10]
웹사이트
ハイビジョンとは?
http://smoj.imaginat[...]
[11]
웹사이트
http://www.skyperfec[...]
[12]
웹인용
All-Digital Television Is Coming (And Sooner Than You Think!)
https://web.archive.[...]
2018-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